동네방네 김형규 기자 | 울산시가 도심항공교통(UAM) 분야에서 대한민국을 선도하는 도시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울산시는 22일 오전 10시 시청 본관 4층 중회의실에서 ‘도심항공교통(UAM) 산업 육성 종합계획(마스터플랜) 수립 및 통합실증지 설계용역 보고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보고회는 울산시가 국토교통부의 ‘한국형 도심항공교통(K-UAM) 국가 연구개발(R·D) 사업’ 통합실증지로 최종 선정됨에 따라 도심항공교통(UAM) 산업 육성을 위한 종합계획(마스터플랜)을 수립하고자 마련됐다.
회의는 안효대 경제부시장을 비롯해 울산시와 울산정보산업진흥원, 용역사 관계자 및 외부전문가 등 2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종합계획(마스터플랜) 수립 중간보고, 통합실증지 설계 완료보고, 질의응답, 전문가 자문 등으로 진행된다.
울산시는 이날 회의를 통해 연말까지 전문가 자문을 반영한 울산형 미래항공모빌리티(AAM) 발전 전략과 운용 개념서 등을 담은 종합계획(마스터플랜)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토대로 지난해부터 추진 중인 ‘도심항공교통(UAM) 안전운용 체계 핵심기술 개발 사업’과 연계해 산업 생태계를 조성하고, 도심항공교통 선도도시로서 입지를 굳힌다는 구상이다.
울산시 관계자는 “산업수도에서 ‘하늘길 교통 혁신 도시’로 체질을 전환해 미래 이동수단(모빌리티) 시장을 선점하고, 시민들에게 혁신적인 교통 경험을 제공하겠다”라고 말했다.
한편 울산시가 최근 국토교통부 한국형 도심항공교통(K-UAM) 국가연구개발사업 선정됨에 따라 울주군 길천 일원 8만여㎡ 부지에 통합실증지가 들어서게 된다.
올해 11월 착공해 오는 2026년 12월까지 격납고와 관제센터는 물론, 지상 2층 규모의 자동 이착륙이 가능한 수직 격납형 버티포트(이착륙장)를 설치한다.
울산시는 이를 기반으로 인공지능(AI) 항행·교통관리, 안전인증 등 핵심 기술 개발과 검증에 나선다는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