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네방네 김형규 기자 | 대구향교(전교 도인석)는 오는 2025년 9월 25일 오전 10시, 대구향교 대성전에서『석전대제(釋奠大祭)』를 봉행한다.
석전대제는 유교의 성인 공자를 비롯한 오성(五聖:공자, 안자, 증자, 맹자, 자사자), 송조 2현, 그리고 우리나라 18현을 추향(追享)하는 국가적 의례로,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매년 음력 8월 상정일(上丁日)에 봉행되며, 유교 전통을 계승하고 성현의 가르침을 기리는 가장 장엄한 제례다.
석전대제는 공자(孔子)를 비롯한 선성선현(先聖先賢)의 유덕을 기리고 예를 올리는 대표적인 유교 전통 제례로, 600년 이상 이어져 온 유구한 역사와 가치를 지닌 국가적 행사이다.
석전대제는 고증된 예법에 따라 엄정히 거행된다.
전폐(奠幣)례–초헌례–아헌례–종헌례–분헌례-음복례–망료례의 순서로 진행되며, 제관들은 공자와 성현의 위 앞에 정성스러운 제향을 올린다.
제례는 공경과 정숙을 근본으로 하여, 유교 전통이 지향하는 도덕적 이상을 현재에 되살리는 의미를 지닌다.
대구향교는 조선 태조7년(1398년) 창건 이래 600여 년 동안 지역 유림의 구심점 역할을 해왔다.
석전대제는 단순한 전통 의례가 아니라, 시민 모두가 “공경·효제·인의” 정신을 되새기며 후대에 전하는 교육의 장이다.
향교는 이번 봉행을 계기로 청소년 인성교육과 시민 교양 강좌를 지속적으로 확대하여, 예(禮)를 생활 속에서 실천하는 시민 문화 정착에 앞장설 계획이다.
또한 석전대제 종료 후 양사재에서는 향교의 숭고한 정신을 계승하며 미래 인재를 길러내는 뜻이 담겨있는 “대구향교 장학금” 수여식을 한다.
- 장학금 수혜자 10명(대학생6, 고교생 4명)
- 수여금액 : 대학생 1인당 1백만원, 고교생 1인당 50만원
“석전대제는 단순한 형식의 재현이 아니라'인(仁)과 예(禮)'의 회복입니다.
이번 봉행의 표어는 ‘法故創新(법고창신)’으로, 옛 법을 본받아 새로움을 창조한다는 뜻을 담고 있습니다. 시민과 청소년이 함께 참여하여, 우리 사회의 도덕적 토대를 다시 세우는 자리가 되기를 바랍니다.” — 대구향교 전교 도인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