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네방네 김형규 기자 | 경상남도는 미국, 유럽연합 등 주요국의 보호무역 강화로 대외 불확실성이 커짐에 따라 7일 창원상공회의소에서 관계기관 합동으로 도내 수출기업, 창원·함안상공회의소와 간담회를 개최했다.
도는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경남지역본부 등 관계기관과 함께 7일 중부(창원, 함안), 13일 동부(김해, 밀양, 양산, 거제), 18일 서부(진주, 통영, 사천) 등 권역별로 찾아가 수출기업의 애로사항을 확인하고 지원방안을 모색한다.
이날 중부권 간담회는 김명주 경제부지사가 주재하고,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경남지역본부,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경남지역본부 등 7개 관계기관, 도 관련 부서, 철강·기계장비 등 도내 주요 수출기업이 참석했다.
경남투자경제진흥원이 ‘한미 관세 협상 타결과 산업별 영향’을 발표했다. 한미 양국 정상회담을 통한 자동차 관세 인하를 비롯해 철강 등의 고율 관세·쿼터제 전망에 관해 설명했다.
경남의 자동차는 미국 수출 의존도가 높지만, 미국의 소형 SUV 시장이 수입차에 의존하는 만큼 관세 영향은 제한적이고, 자동차 부품은 가격 상승으로 인한 수리 수요 둔화로 다소 위축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조선업은 현재 수주 잔고에는 여유가 있지만 글로벌 경기둔화로 신규 수주에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철강의 경우 미국 시장은 자체 생산능력 확대로 부진할 가능성이 있고, 유럽 시장은 단기적으로 수출이 견조하겠으나, 탄소국경조정제도(CBAM)에 대비가 필요하다고 했다.
이러한 대외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선 정부 차원의 관세·통상 이슈 신속대응 체계 구축이 필요하며, 철강 제품 친환경 공정 전환 시범 사업, 일반기계 친환경·스마트화 기술 도입 지원, 수출국 다변화를 위한 신흥시장 진출 등을 통해 경쟁력을 확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도는 도내 수출 관계기관과 기업의 애로와 건의 사항을 청취했다. 도의 수출기업지원 특별자금·해외마케팅 지원 사업 확대를 비롯해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의 수출 바우처, 한국무역협회의 무역진흥자금 등 관계기관별 지원 사업을 안내했다.
김명주 부지사는 “철강 등은 경남의 주력산업 경쟁력의 근간으로 관계기관의 다양한 지원 정책을 통하여 합동으로 도내 기업이 수출장벽 대응에 어려움이 발생하지 않도록 총력을 다하여 지원해 나가겠다”고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