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네방네 김형규 기자 | EU는 제12차 對러시아 제재(안)로 원유 제재 강화 및 다이아몬드 수입 금지 등을 검토한다. EU의 제12차 對러시아 제재(안) 초안은 러시아 원유 가격상한제가 해상운송을 통한 공급망 단계별 운영자의 자발적 증명에 의존하고 있음을 지적했다. 원유가격 상한제의 효과적 운영과 허위증명 방지를 위해 보험 및 운임 등 항목별 부대비용 표시를 요건에 추가하고, 공급망 단계별 운영자들이 해당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개편한다. 이는 최근 러시아산 원유가격이 불법 해상환적을 통한 수출 등으로 상한가격인 배럴 당 60달러를 상회, 현재 배럴 당 80달러에 육박함에 따라 이를 제한하기 위한 조치이다. EU는 12차 제재(안)에서 러시아 화석연료 분야 제재 확대의 일환으로 액화프로판가스(LPG)에 대한 제재도 검토한다. EU는 제12차 對러시아 제재의 일환으로 벨기에가 반대하고 있는 러시아 다이아몬드 섹터에 대한 제재를 재차 추진한다. 현재 러시아 국영 광산회사 Alrosa가 전 세계 다이아몬드의 1/3을 생산하고 있는 가운데, 미국은 러시아 전쟁 자금원 차단을 위
동네방네 김형규 기자 | 우리나라는 11월 15일 프랑스 파리에서 개최된 제42차 유네스코 총회(UNESCO General Conference)에서 2023-2027년 임기 유네스코 집행이사회(Executive Board) 이사국으로 당선되어, 2007년 이래 5회 연속 연임한 집행이사국이 됐다. 우리나라는 1987년 집행이사국으로 최초 선출된 이래, 2003-2007년을 제외한 나머지 기간 중 유네스코 집행이사국을 지속 수임했으며, 이번 집행이사국 선거에서도 당선됨으로써 총 9차례 집행이사국에 진출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우리나라가 속한 아태지역 그룹(Group IV)에서는 6개 공석에 우리나라, 파키스탄, 방글라데시, 이란, 인도네시아, 아프가니스탄, 스리랑카, 키르기스스탄, 호주 등 9개국이 입후보했으며, 이 중 우리나라 및 파키스탄, 인도네시아, 방글라데시, 스리랑카, 호주가 당선됐다. 우리나라의 집행이사국 5연속 당선은 유네스코 회원국들이 △양질의 교육 기회 증대 △문화유산 보호 및 균형잡힌 해석 촉진 △무형유산보호협약 이행 강화 등을 위해 우리가 기울여 온 노력과 향후 유네스코 활동에 대한 우리의 건설적 기여
동네방네 김형규 기자 | 박진 외교부 장관은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APEC 정상회의 계기 가미카와 요코(上川 陽子) 일본 외무대신과 11월 15일 10:20-11:15(현지시간)간 조찬 겸 한일 외교장관회담을 가졌다. 양 장관은 9년만에 재개한 한일 외교차관전략대화를 통해 폭넓은 분야에 대한 심도있는 논의가 이루어진 것을 환영하고, 앞으로도 외교 당국간 각급에서 교류를 활성화해 나가자는데 의견을 같이했다. 양 장관은 한일간 주요 현안 및 상호 관심사에 대해 논의하고, 북핵ㆍ북한 문제, 우크라이나 정세, 이스라엘-하마스 무력충돌 등 엄중한 국제정세에 대응하기 위해 한일간에 계속 협력해 나가기로 했다. 특히, 한일중 외교장관회의의 조속한 개최를 위한 협의도 지속하기로 했다.
동네방네 김형규 기자 | 박진 외교부 장관은 11월 14일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개최된 APEC 외교통상합동각료회의 세션 1(토니 블링컨 미 국무장관 주재)에 참석하여, 보건위기·공급망 충격·기후변화 등 글로벌 복합위기에 대응하여 아태지역의 지속가능하고 포용적 미래를 만들기 위한 방안을 회원국 각료들과 논의했다. 먼저 박 장관은 안정적인 물적·인적 연계성 강화를 통한 촘촘한 네트워크 구축이 아태지역 전체의 위기대응 능력을 증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APEC 내 공급망 교란 위기에 대응하는 ‘공급망 연계성 프레임워크 행동계획(SCFAP)’의 3단계 주도국으로서 한국은 통관절차 및 공급망 디지털화 관련 협력 사업을 통해 역내 공급망 탄력성 강화에 기여해 나갈 것이라고 했다. 또한 인적 연계성 증진을 위해 APEC 기업인 교통카드(ABTC)의 디지털화 및 여성·중소기업에 대한 포용성 확대에 적극 기여해 나가겠다는 한국의 의지를 표명했다. 박 장관은 역내 디지털 격차 해소를 통한 포용적 성장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디지털 연계성 증진이 필요함에 주목했다. 한국이 2019년 설립한 디지털 혁신 기금(Digital Innovation
동네방네 김형규 기자 | 강주연 국제기구국장은 11월 14일 서울에서 우리나라의 2024-25년 임기 유엔 안보리 비상임이사국 수임 준비의 일환으로, 프랑스 외교부 Beatrice LE FRAPER DU HELLEN 유엔·국제기구·인권·프랑코포코니국장을 단장으로 한 프랑스 대표단과 한-프랑스 안보리 협의회를 개최했다. 양측은 금번 협의회에서 우리가 안보리 이사국으로서 2년 동안 중점적으로 다루고자 하는 의제인 평화유지 및 평화구축, 여성·평화·안보, 사이버안보, 기후와 안보 등에 대해 협의했다. 또한, 북한 뿐 아니라 이스라엘-하마스 무력충돌, 아프리카 및 사헬 상황 등 지역 현안들에 대한 의견을 교환하고, 국제 평화와 안보 증진을 위한 기여 방안을 논의했다. 이번 협의회는 안보리 내에서 주요 국제 현안에 대응하기 위한 양국간 협력 기반을 강화하는 계기가 된 것으로 평가된다.
동네방네 김형규 기자 | 프랑스와 아일랜드를 연결하는 해저 고압전력케이블 부설 사업 'Celtic Interconnector'이 13일(월) 착공했다. 동 프로젝트는 2026년 완공, 2027년 전력 그리드 연결을 목표로 시행되며, 완공되면 약 45만 가구에 전기를 공급할 수 있는 전력망이 아일랜드 남부와 프랑스 북부를 연결하여, 아일랜드가 EU 전력 그리드와 직접 연결되게 동 프로젝트는 EU 에너지 시장 통합을 강화하기 위한 해상네트워크개발계획의 일부로써, 유럽연결기금(Connecting Europe Facility)을 통해 약 5억 유로가 지원된다. 한편, EU는 에너지 안보 강화의 일환으로 각 회원국 간 전력망 연결을 통해 특정일의 신재생에너지 생산량 차이를 상호 보완하는 등 효율적인 에너지 사용을 권고했다.
동네방네 김형규 기자 | EU 집행위는 중국 정부의 공공조달 사업자 선정과 관련한 불투명한 기준이 유럽 IT 기업의 중국 5G 시장 입지를 약화하고 있다며 이에 대한 대응을 시사했다. 티에리 브르통 EU 내부시장 및 디지털 담당 집행위원은 10일(금) 중국 화웨이가 EU 시장에서 약 30%의 공고한 점유율을 유지하고 있는 반면,노키아와 에릭슨은 불투명한 선정 기준에 의해 중국 공공조달 시장에서 배제되어, 현재 한 자릿수 점유율에 머물고 있다며 중국 조달시장 문제점 개선을 위한 대응 방침을 시사했다. 중국은 5G 네트워크의 세계 최대 시장으로 화웨이가 시장을 주도하고 있으며, 최근 중국 5G 네트워크 시장에서 에릭슨과 노키아에 대한 경쟁 우위를 더욱 확대하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서방의 화웨이 등 중국 네트워크 장비 퇴출 추진 이후 중국 시장에서의 경쟁력 격차가 더욱 확대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2022년 매출 기준, 화웨이는 세계 최대 RAN 공급업체로 시장점유율 31%를 기록. 다만, 중국 시장을 제외하면 에릭슨 36%, 노키아 25%에 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수개월 전 EU
동네방네 김형규 기자 | 베트남 보건부에 따르면 베트남 인구는 2044년 1억700만 명으로 증가한 후 2100년에는 7,200만 명으로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2100년에는 일본, 태국, 중국, 한국 등 23개국의 인구가 절반으로 감소할 것으로 예상했다. 국가별로 합계출산율(TFR)은 한국(0.8), 중국(1.2), 태국(1.24), 일본(1.3) 등이다. 현재 베트남의 인구는 약 1억 명을 기록한 후 출산율이 급격히 감소하고 있다. 베트남의 합계출산율(TFR)은 2.1명이며, 그 중 호치민시는 1.39명으로 전국에서 가장 낮은 출산율을 기록했다. 베트남의 불임률은 7.7%로 높은 수준이다. 저출산은 인구구조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이는 베트남의 가족 구조, 사회 문화적 생활, 경제, 노동, 고용 및 사회 보장에 심각한 영향을 미친다. 베트남의 외국인 투자 유치 강점 중 하나인 풍부한 노동력이 저출산으로 인한 부족 현상이 발생할 경우 베트남 경제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베트남 정부는 저출산 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nb
-- Siam Piwat, Siam Paragon, ICONSIAM 세계적 상 수상 영예 -- 최고의 글로벌 관광지 개발업체로서 리더십 강화 계기 마련돼 방콕 2023년 11월 3일 /PRNewswire=연합뉴스/ -- 선도적인 부동산·소매 사업 개발업체 Siam Piwat Group이 영국에서 열린 '글로벌 브랜드 어워드 2023(Global Brand Awards 2023)'에서 세계적 수준의 상 3개를 수상했다. Siam Piwat Group은 Siam Paragon, Siam Center, Siam Discovery의 소유주이자 운영사이면서 ICONSIAM, ICS, Siam Premium Outlets Bangkok의 합작 투자 파트너다. 이런 권위 있는 상들을 한꺼번에 수상했다는 건 글로벌 관광지 개발업체로서 Siam Piwat이 가진 강점과 역량이 입증됐다는 뜻이다. 또 명품 소매 시장에 특별한 경험을 도입하고, 태국 고유의 정체성과 소프트파워를 선보이며 전 세계 사람들에게 영감을 불어넣으며 놀라운 성공을 거뒀다는 사실 역시 인정받았다고 볼 수 있다. - Siam Piwat - 모든 기대치를 뛰어넘는 경험을 제공하며, 태국 및 전 세계 여행객들이
다란, 사우디아라비아 2023년 11월 11일 /PRNewswire=연합뉴스/ -- Aramco가 사물인터넷(IoT)과 인공지능(AI) 기술을 도입한 공로를 전 세계적으로 인정받았다. 사우디아라비아 동부 다란 본사에 위치한 Aramco의 주거와 상업 시설과 서비스 관리를 혁신한 A'amer 플랫폼이 스페인에서 열린 월드 스마트시티 어워즈(World Smart City Awards)에서 인프라·빌딩 부문 상을 수상한 것이다. 시상식은 11월 8일 수요일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개최된 스마트시티 엑스포 월드콩그레스(Smart City Expo World Congress)에서 열렸다. Aramco는 도시 전역에 통합 서비스를 제공해 도시 생활의 질을 향상시켰다는 평가를 듣는 A'amer로 본 상을 수상했다. Aramco의 커뮤니티 서비스 팀이 수상의 영예를 안은 주인공이다. Talal Al Marri Aramco 커뮤니티 서비스 담당 수석 부사장은 "스마트시티 개발 과정에서 도시 커뮤니티의 변화하는 니즈와 기대에 부응하는 데 필요한 일을 함으로써 세계 무대에서 인정받게 되어 매우 기쁘다"며 "우리는 교통과 유틸리티 같은 기본 서비스 외에도 사람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
-- 업계에 안전한 AI를 상업적으로 제공하는 첫 요소로 셔터스톡 트러스트는 책임감 있는 AI를 위한 프레임워크를 추구하는 브랜드와 단체의 가이드 역할을 합니다. 뉴욕 2023년 11월 11일 /PRNewswire=연합뉴스/ -- 브랜드와 기업을 고품질 콘텐츠로 연결하는 선도적인 글로벌 크리에이티브 플랫폼인 셔터스톡[https://www.shutterstock.com/ko/ ](Shutterstock, Inc., NYSE: SSTK)이 오늘 제품과 워크플로에 책임감 있게 AI를 사용하려는 셔터스톡의 오랜 가치와 노력을 구현하는 공식 안내 프레임워크인 트러스트(TRUST)[https://www.shutterstock.com/business/TRUST ]를 발표했습니다. 교육, 로열티, 드높이기, 안전보장조치 및 투명성의 머리글자인 트러스트는 셔터스톡이 지난 20년 동안 적극적으로 유지해 온 핵심적인 노력을 반영합니다. 규제받지 않는 빠르게 변하는 업계에서 이 프레임워크는 또한 AI 기술을 실험하는 기업의 행동 기반 체크리스트 역할을 하며 셔터스톡의 평생에 걸친 기여자 중심 운영 원칙을 반복합니다. 트러스트는 다음과 같은 공헌을 합니다. 적절하게 라이선스받은 데
-- 동반 성장 및 상호 이익 위한 협력과 상생의 성과 목표로 삼아 베이징 2023년 11월 11일 /PRNewswire=연합뉴스/ -- 권위 있는 금융 정책을 발표하며 금융과 실물 경제 간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촉진하기 위한 국가 차원의 플랫폼 역할을 하는 Financial Street Forum 2023 연례 콘퍼런스가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중국 수도 베이징에서 열렸다. 이번 콘퍼런스는 중국의 금융 개혁과 발전 기준을 만들고, 세계 무대에서 개방과 협력 및 상생의 성과를 도모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전 세계 30여 개 국가와 지역에서 온 400명 이상의 주요 인사들이 현재의 경제와 금융 부문 주요 이슈에 관해 의견을 공유하고, 국제 협력 기회와 글로벌 경제 도전 극복 방법 및 금융 부문의 경제 발전 기여 확대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고민했다. '더 나은 중국, 더 나은 세상-동반 성장과 상호 이익을 위한 금융 개방과 협력 강화(Better China, Better World-Enhancing Financial Openness and Cooperation for Shared Growth and Mutual Benefits)'를 주제로 열린 이번 대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