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네방네 김형규 기자 | 행정안전부 스마트복지안전공동체추진단은 1월 23일 서울에서 ‘2025년 스마트복지안전공동체 추진협의회’ 전체회의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스마트복지안전공동체 추진협의회는 정순둘 이화여대 교수가 위원장을 맡고 있으며 정부와 민간위원 24명으로 구성된 민·관 협의체다. 협의회는 추진단이 추진하고 있는 복지·안전 사각지대 정책의 개선 방향을 논의하고 자문하는 역할을 맡고 있다.
지난해 추진단은 증가하는 복지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다양한 기관들의 복지자원을 활용해야 한다는 추진협의회의 의견에 따라 민관협업 사업을 발굴하여 추진했다.
우정사업본부와의 협업을 통한 ‘안부살핌 우편서비스’, ‘복지등기우편서비스’는 집배원들이 직접 방문하여 사회적 고립가구를 발굴·지원했고, 올해에도 확대 추진할 예정이다.
소주, 담배, 즉석밥 등 생활밀착형 제품과 기업의 푸드트럭을 활용한 위기가구 발굴·지원 홍보는 기업들의 사회적 책임 활동을 연계하여, 복지서비스를 필요로 하는 위기가구에 대한 관심을 제고했다.
이날 열리는 회의에서는 복지전달체계를 주민이 체감할 수 있도록 개선하기 위해 추진단 기존 사업을 평가하고, 올해 신규로 추진할 사업에 대한 개선·보완사항을 집중적으로 다룰 예정이다.
주요 논의 사항은 AI 기반으로 복지업무를 혁신한다. 한정된 인력으로 늘어나는 복지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AI 전화기술로 위기가구를 모니터링하고, 복지·안전 분야의 단순·반복 전화 업무를 대체하는 사업의 추진방안을 논의한다.
위기가구 발굴 시스템을 개선한다. 사회적 고립도 등 다양한 위기요인을 확인할 수 있도록 읍면동 초기상담지를 개선하고, 관리자가 상담내용을 한번 더 확인하는 ‘더블체크 시스템’을 도입하는 등 다양한 유형의 위기가구를 누락 없이 발굴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위기가구 발굴·지원 분위기를 확산한다. 각 부처의 위기가구 지원 정책, 민간기업의 사회공헌활동 등을 지역축제 등과 연계하여 ‘위기가구 발굴·지원’ 홍보도 활성화할 예정이다.
읍면동 안전관리 기능을 확산한다. 최일선 읍면동 단위의 안전관리 기능 강화를 위해 추진해 온 ‘읍면동 안전협의체’ 시범운영 사업지를 확대(40개 2024년→70개 2025년)하고, 지역 특성에 맞는 운영모델 개발 방안을 마련할 예정이다.
김민재 차관보는 “스마트복지안전공동체 추진협의회에서 정부와 민간의 협력체계를 강화하고 일선 현장의 의견을 적극 반영하여, 주민이 체감할 수 있는 복지·안전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