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네방네 김형규 기자 | 서울 중구는 오는 6월부터 도로 지반침하(일명 싱크홀)가 우려되는 지역을 대상으로 상시 모니터링 체계를 본격적으로 가동한다. 최근 잇따른 싱크홀 사고로 시민 불안이 커지는 가운데, 땅꺼짐 사전 감지와 예방을 위한 선제적 조치다.
구는 전국 지자체 최초로 인공위성 측위시스템(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을 활용해, 도로 지표면의 미세한 높낮이 변화를 측정한다. 주 1회 측정하며 미세한 지표 변화 데이터를 수집·분석해 지반침하 조짐을 조기에 포착하고 위험을 사전에 차단하는 방식이다.
앞서 구는 지난 3월부터 △대형굴착 공사 구간 △노후 하수도관 구역△지반 침하 신고지역 등 지반침하와 관련된 종합적인 정보를 수집했다. 이를 바탕으로 공간정보 분석을 거쳐 지반침하 가능성이 높은 4개 구간을 선정하고, 4월부터 이 중 2개 구간을 대상으로 시범 측정을 진행해왔다.
오는 6월부터는 대상 지역을 확대해 본격적인 운영에 들어간다. 선정된 4개 구간별 5~8개 지점에 위성 수신기를 설치해 매주 동일한 시간에 지표 높이를 측정하고, 이상 징후가 포착되면 유관기관 및 전문가와 함께 즉시 대응에 나설 계획이다.
건축공사 현장에 대한 관리도 강화된다. 구는 굴착공사가 수반되는 모든 건축현장에 대해 공사 시작 전부터 공사 기간 중, 주 1회 침하 계측을 실시하며 철저히 관리할 방침이다.
구 관계자는 “싱크홀은 대형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예방과 선제적 대응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라며 “앞으로도 구민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삼아 안심하고 생활할 수 있는 도시환경 조성에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